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Tags
more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하는만큼

[워렌버핏처럼 사업보고서 읽는 법] 다트 전자 공시, 두려워말자 - 분기,반기,영업,사업보고서는 여기를 읽자! 본문

장세와 상관없이 버는 예비 파이어족/기업 공부 - 다트 전자 공시

[워렌버핏처럼 사업보고서 읽는 법] 다트 전자 공시, 두려워말자 - 분기,반기,영업,사업보고서는 여기를 읽자!

결국엔맑음 2021. 6. 11. 08:48

작년 8월부터 '주식'을 파이어족이 되기 위한 재테크 수단으로 공부해야겠다는 생각을 하면서도 계속 기피하게 되던 '전자 공시 읽기'

숫자만 봐도 머리 아픈 문과 중의 문과생이라 대학교에서 복수전공의 필수강의라 강제로 듣고 억지로 외워 B+맞은 '재무제표'

여전히 어렵지만, 하고 싶은 것만 해서 바라는 데로 살 수 없는 게 인생이구나 싶으니 하고 싶은 것을 하기 위해 해야 할 하기 싫은 공부다.

그래도 다른 책을 찾다 발견한 내 눈에 띄던 제목 : '워런 버핏처럼 사업보고서 읽는 법'

현재 유투브계의 유재석이라 불리는 '신사임당'채널의 수요일 고정 출연자, 더 퍼블릭 자산운용의 김현준 대표가 저자이다. 해당 채널에서도 '주식'이라는 분야를 너무 어렵지 않게 느끼도록 해주시는 것 같아 맘먹고 책을 빌렸다.

 

나의 배경지식으로는 이 책 한 권 읽는다고 이제 재무제표 마스터! 이런 건 아니지만, 외국어를 배우기 싫을 때 그 해당 언어가 모국어인 나라로 유학을 갔다 온 것처럼, 완전 정복은 아니라도 어느 정도 그 언어에 귀가 트이고, 할 수 있다 라는 자신감을 주는 느낌이랄까?

 

기업의 사업/영업보고서 또는 공시를 확인할 때, 어떠한 부분을/ 왜 / 무엇을 유추해내야 하는지,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조금의 감은 잡히게 된다.

초보자도 이용하기 편리하게 개편했다는 새로워진 전자공시시스템 - 이 곳에서 기업의 각종 보고서를 확인하면된다.

이 중, 실전부문-사업보고서 읽기 부분에 대해 정리해보았다. 

기업의 사업보고서/반기/분기 보고서를 읽을 때 크게 아래와 같이 나눈다.

  • 사업 모델 (무엇으로 돈을 버는 가, 잘 벌어왔고 잘 벌고있고 앞으로도 잘 벌까?)

-'주요 제품 등에 관한 사항' + '매출에 관한 사항' -> 사업의 부문(eg: '골프존'기업의 경우 '스크린골프 판매/골프장 운영/유통사업 등) 별 매출액(주요 제품에 관한 사항/ 매출에 관한 사항 內 금액)을 나만의 표로 재정리하여 퍼즐 맞추듯 비교해보자. 

-또한 매출의 구성을 표로 재정리해 볼 수도 있다(어떤 제품이 많이 팔리고, 판매 흐름 추이도 확인해 볼 수 있다.)

-'사업 부문별 요약 재무 현황'이 공시된 기업의 보고서에서는 각 부문별 사업모델 및 수익성의 비중을 확인해볼 수도 있다.(어떤 사업은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이 높으면, '아 판관비 또는 매출원가의 비중이 높은 사업인가 보군, 왜지?' 하며 추가적인 기업 이익의 구조를 확인하게 되는 통로가 될 수도 있고 ' 이 사업은 이 회사의 전체 매출액에서의 비중은 40%지만 영업이익으로 비중은 67%네? 앞으로도 이럴 수 있는 시장인가?)

-이렇게 회사가 어떤 사업들을 통해 돈을 벌고 있는 지를 확인하고 '이사의 경영 진단 및 분석 의견' 또는 '영업보고서'를 읽어보자 : 사업보고서의 '신규사업의 내용' '경영전망' '시장점유율' 영업보고서의 '영업의 개요' ' 산업의 특성'

-경제적 해자가 있는 가? 무형자산(브랜드, 특허, 법적 진입장벽) / 원가우위 / 네트워크 효과(제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이 증가할수록, 그 가치가 증대되는 것 eg 인스타그램 등의 SNS) / 전환 비용(한 번 써보면, 다른 거  못쓴다! 아이폰 유저..)

-'주요 제품 등의 가격 변동 추이 및 가격 변동 원인'등 위의 경제적 해자가 사라질 수 있는 변화가 적혀있다면 읽어보고 검증해보자 (ex위의 경우, '주요 원재료에 관한 사항' '연결재무제표에 대한 주석'을 통해 그 수치를 확인)

 

  • 지배 구조 (기업의 수장은 어떤 사람인가? 앞으로도 회사가 잘 성장하도록 관리 및 경영하고 있는가? 좋은 사람한테 잘 물려줄까? 주주들을 잘 챙겨줄까?)

-'재무구조' & '손익구조'를 통해 확인 : '연결감사 보고서' 및 그 주석

'재무구조' -> '자본총계의 흐름' (재무제표의 자본금 구성내역 eg 자본금, 주식발행 초과금, 자기 주식, 기타 자본 구성 요소, 이익잉여금 등.. 의 항목과 수치를 엑셀> 삽입> 차트> 막대그래프를 사용하여 구성비율 및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) 남는 이익(당기순이익 - 현금배당 + 공모자금 vs 현금성 자산 비교)이 많나? 그럼 이 이익으로 재투자('생산 및 설비에 관한 사항 / 유형자산의 변동내용) 또는 주주를 위해 잘 분배해주었나?

 

'손익구조' -> '손익계산서'의 매출원가율(매출원가/매출액) vs 판관비율(판매비와 관리비/매출액) vs 영업이익률(영업이익/매출액) 비교를 통해 비용통제가 잘 되고 있는지, 잘 버는지 확인 -> '비용의 성격별 분류' (표로 도식화해보면 눈에 더 확 들어옵니다)

 

-이러한 구조 확인 후, 어떤 사람들로 구성된 회사인지 확인해 보자

'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주식소유 현황' '임원 및 직원의 현황' '주식의 분포' : 돈을 허투루 쓸 수 없도록 내부인이 아닌 사람으로도 감사 또는 이사회가 잘 결성되어 있는 지, 최대주주가 가족으로만 이뤄져 있는 건 아닌지.

'자본금 변동사항' ' 지급 금액' : '유상증자' 또는 '전환사채 발행'등 돈을 빌리러 손을 자주 벌리는 건 아닌지. '현금배당'도 잘 주는지 

[*석유화학 회사 듀퐁의 분석기법 : '순이익률(순이익/매출액)' '총자산회전율(매출액/자산총계)' '재무레버리지(자산총계/자본총계)' 세 가지 요소로 재부 분석하는 기법. 상장기업 평균보다 낮은 부채를 사용하고도 높은 수익성과 자산효율성을 얻고 있는가?]

 

-'그밖에 투자자 보호를 위하여' + '연결재무제표에 대한 주석' : 자금 활용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에 포인트를 두고 분석

 

  • 그 밖의 항목 (무형자산, 연구개발 활동 등)

-'무형자산' '사업의 내용> 연구개발 활동' : 어떠한 분야에 연구개발을 하고 있는가? 비중이 큰가? 

 

 

하는 김에 같이 공부하고 전자 공시 완전 정복

2021.06.12 - [파이어족이 되기 위한 뜀박질 - 주식/주식 용어 공부] - [전환사채] 사례를 통해 이해하고 전자공시에 적용하기

 

2021.06.12 - [파이어족이 되기 위한 뜀박질 - 주식/주식 용어 공부] - [교환사채] 사례를 통해 이해하고 전자공시에 적용하기

 

2021.06.10 - [파이어족이 되기 위한 뜀박질 - 주식/주식 용어 공부] - [물적분할과 인적분할] 사례 : '만도'의 ADAS자율주행 사업부 물적분할

 

Comments